Search

우버 주식을 드라이버에게도 준다? 프로토콜 경제란 - 한겨레

우버, 연봉 15% 주식으로 지급 가능
우버의 로고
우버의 로고
프로토콜 경제는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는 개방형 경제 플랫폼이다. 이용자들과 플랫폼 소유자가 함께 정한 프로토콜(규칙)에 따라 플랫폼을 운영하고, 성장에 따른 이익을 디지털 자산으로 공유하는 게 핵심이다. 새로운 개념이다 보니 실물경제에서 아직 프로토콜 경제에 딱 맞는 사례는 없다. 드라이버에게 지분을 지급할 수 있게 법적 근거를 마련한 우버나 호스트에게 싼 가격에 주식을 나눠주는 에어비앤비 정도가 ‘우수 사례’로 꼽힌다. 국내에서는 소상공인이 참여하는 배달의민족 같은 플랫폼 기업에 적용할 수 있지 않겠냐는 전망 정도가 나온다. 그러나 블록체인 업계에서 프로토콜 경제는 낯익은 개념이다. 지난해 급성장한 탈중앙화금융(디파이, Defi) 시장이 이런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블록체인 투자사 해시드의 김서준 대표는 프로토콜 경제를 다음 세대 경제모델로 지목하며 디파이 시장의 빠른 성장을 예로 든다. 디파이 성장의 배경엔 플랫폼이 플랫폼 이용 대가로 이용자들에게 지급했던 거버넌스 토큰이 있다. 거버넌스 토큰은 해당 플랫폼의 운영 정책(프로토콜)을 결정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투표권인데, 플랫폼이 커질수록 가치가 올라가며 돈을 받고 타인에게 양도가 가능하다. 특정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 디파이 이용자들은 거버넌스 토큰을 나눠주는 플랫폼으로 몰려들었다. 블록체인 기반 대출 플랫폼인 컴파운드는 지난해 6월 거버넌스 토큰 도입 후, 한달 만에 예치자산이 9천만달러에서 약 7억달러까지 7배 이상 늘어났다. 탈중앙화 거래소인 유니스왑은 거버넌스 토큰 도입 직후인 지난해 9월 154억달러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의 월 거래량(136억달러)을 넘어서기도 했다. 규제 없는 디파이 영역에서의 성공 방식이 실물경제에서도 그대로 이어지리라는 보장은 없다. 다만 프로토콜 경제를 주장하는 이들은 이런 흐름이 일종의 시대정신이라고 주장한다. 한국의 경제민주화나 미국의 반독점법 등 현대사회에서 공감을 받는 공정에 대한 요구와 프로토콜 경제의 발상이 상당 부분 겹친다는 것이다. 민주적 절차를 통해 이용자와 함께 플랫폼의 규칙을 정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동반되는 기업의 개방성과 투명성 확보도 이점으로 꼽힌다. 단순히 공정한 분배만을 위한 시스템은 아니라는 얘기다. 김 대표는 “소수의 경영진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보다 회사와 연결된 좋은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할 때 기업에 유용한 네트워크가 커진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이는 왕정에서 민주정으로의 변화와도 맥이 닿아 있다”고 말했다. 김동환 코인데스크코리아 기자 heandie@coindeskkorea.com

Let's block ads! (Why?)

기사 및 더 읽기 ( 우버 주식을 드라이버에게도 준다? 프로토콜 경제란 - 한겨레 )
https://ift.tt/3pWX1Jd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우버 주식을 드라이버에게도 준다? 프로토콜 경제란 - 한겨레"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