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스마트건설 전문가 등 신직업 14개 육성한다 - 한겨레

sedangsulit.blogspot.com
정부, 일자리 창출 위해 새로운 직업 발굴 및 지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맨 왼쪽)이 13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1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맨 왼쪽)이 13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1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스마트건설 전문가, 미래차 정비 기술자, 민간 인명구조사 등 새로운 직업 14개를 활성화되도록 관련 법·제도 정비와 초기 시장수요 창출 등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신직업 활성화 방안'과 ‘사회적경제기업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 등을 논의했다. 정부는 우선 새롭게 부상되고 있는 융복합 신산업, 생활·여가·문화, 재난안전 등 3개 분야의 14개 유망 신직업에 대해 법·제도의 정비, 전문인력 양성, 초기수요 창출 등을 통해 민간부문 활성화를 조속히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융복합 신산업 분야에서는 최근 4차 산업혁명 및 디지털 혁신과 관련해 부상 중인 스마트건설전문가, 융복합콘텐츠창작자, 미래차정비기술자, 녹색금융전문가, 커머스크리에이터 등이다. 생활·여가·문화 분야에서는 육아전문관리사, 산림레포츠지도사, 오디오북내레이터, 난민 전문 통번역인, 문화예술 후원 코디네이터, 목재교육전문가 등이며, 재난안전 분야에는 민간 인명구조사, 기계 설비 유지관리자 등이다. 아울러 국내에는 없지만, 국제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는 사이버 도시 분석가나 제로에너지 하우스 건축가, 고속도로 컨트롤러 등 잠재적인 신직업 37개+알파도 연구용역 등을 통해 도입 필요성, 시장수요 규모 등을 검토한 뒤 내년에 도입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홍남기 부총리는 “우리 고용의 약한 고리의 하나가 청년고용”이라며 “청년 일자리를 찾는 또 다른 접근의 하나가 신직업 활성화 방안”이라고 밝혔다. 또 ‘사회적경제 기업'의 성장과 자생력·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2022년까지 6만4천개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경제 기업 성장 특례보증 지원을 현재 1억∼3억원에서 앞으로 최대 2배로 늘리고, 사회투자펀드 조성액을 연 250억원에서 500억원으로 확대한다. 또 공공기관의 의무구매 제도화, 온라인 판매채널(e-store 36.5+)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경제 기업의 성장을 지원할 방침이다. 홍 부총리는 “한국판 뉴딜 등 새로운 사회 수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사회적경제 기업 유망진출 분야를 발굴, 지원하겠다”며 “공적돌봄 분야(사회서비스) 진출, 소셜벤처 스케일업 지원 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관련기사

Let's block ads! (Why?)




August 13, 2020 at 12:10PM
https://ift.tt/2YcZbsP

스마트건설 전문가 등 신직업 14개 육성한다 - 한겨레

https://ift.tt/2ArL0ar


Bagikan Berita Ini

Related Posts :

0 Response to "스마트건설 전문가 등 신직업 14개 육성한다 - 한겨레"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