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6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0.50%로 유지하기로 한 것은 코로나 19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주요국의 경제활동 재개 영향을 지켜봐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5월 수정경제전망에서 발표한 –0.2%보다 더 낮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전(全)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등으로 소비가 반짝 회복됐지만, 수출 부진이 예상보다 심각해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고용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것도 경기측면의 하방 압력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이날 금통위 후 발표한 ‘통화정책방향’에서 금리동결의 주요 배경으로 "세계 경제는 코로나 19 확산세 지속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이 점차 재개되면서 경기위축이 다소 완화되는 움직임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주요국의 경제활동 재개 등 글로벌 경제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낸 한은은 국내경제에 대해서는 종전보다 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지난 5월 수정경제전망 에서 발표한 성장률 전망치 –0.2%를 추가 하향하겠다는 입장도 제시했다.
한은은 "국내 경제는 민간소비가 경제활동 제약 완화, 정부 지원책에 힘입어 반등했으나 수출 감소세와 건설투자 조정이 이어진 가운데, 설비투자 회복이 제약되면서 부진한 흐름을 지속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고용상황은 큰 폭의 취업자수 감소세가 이어지는 등 계속 부진했다"고 덧붙였다.
한은은 향후 경기 흐름에 대해서도 "앞으로 설비투자와 건설투자가 완만한 개선흐름을 나타내겠지만, 소비와 수출의 회복이 당초 전망보다 다소 더딜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올해 중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은 지난 5월 전망치 –0.2%를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한은은 소비자 물가에 대해서는 "석유류 및 공공서비스 가격 하락 등으로 0% 내외의 낮은 수준을 나타냈고, 근원 인플레이션률도 0%대 초반을 지속하였으며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대 중반 수준을 유지했다"면서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근원 인플레이션율은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 지속, 수요측면에서의 낮은 물가상승압력 등으로 0%대 초반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금융시장에 대해서는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축소 등에 힘입어 안정된 모습을 나타냈다"고 평가했다. 원·달러 환율, 장기시장금리의 변동성 축소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부동산에 대해서는 "주택가격은 수도권과 지방 모두에서 오름세가 확대됐다"고만 언급했다.
한은 금통위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을 지원하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 19 확산의 영향으로 국내 경제의 성장세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요측면에서의 물가상승 압력도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코로나19의 전개 상황과 국내외 금융·경제에 미치는 영향,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 그간 정책대응의 파급효과 등을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July 16, 2020 at 08:58AM
https://ift.tt/3h4ukFy
한은, 금리동결한 이유는?… "주요국 경제재개 영향 주목" - 조선비즈
https://ift.tt/2ArL0ar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한은, 금리동결한 이유는?… "주요국 경제재개 영향 주목" - 조선비즈"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