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경제 역시 마찬가지다. 정부가 낙관론을 얘기하는 동안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다. 매출액 100대 기업의 올 1·4분기 해외매출은 10.4% 급감했고 지난해 기업과 개인사업자의 영업이익은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크게 줄었다. 정부가 융단폭격식 자금투하 방안을 꺼냈지만 대기업 협력사 등은 지원에서 소외돼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그런데도 정부의 정책집행 속도는 굼뜨기만 하다. 되레 국회에서는 반(反)시장·반기업법이 넘실댄다. 여당은 기업인과 만난 자리에서 파격적 규제 완화와 세제 지원 요청에 “대기업의 사내 유보금을 협력사 상생 협력에 쓰라”며 현실과 동떨어진 주문을 했다.
이처럼 한가로운 정책으로는 코로나19 2차 팬데믹이 왔을 때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있다. 정부는 재정에 함몰된 대책에서 벗어나 경제체질을 개선하는 데 속도를 내야 한다. 재원 등의 한계로 당장 도입이 불가능한 기본소득은 복지체계 전반의 수술과 함께 중장기 과제로 돌리고 신산업 분야의 규제개혁부터 서둘러야 한다. 지금은 정부가 안전벨트를 바짝 조여도 비상 상황을 넘어설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는 엄중한 시기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une 12, 2020 at 10:05PM
https://ift.tt/2YtbHDD
[사설]섣부른 경제 낙관론…안전벨트 다시 조여야 - 서울경제 - 서울경제
https://ift.tt/2ArL0ar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사설]섣부른 경제 낙관론…안전벨트 다시 조여야 - 서울경제 - 서울경제"
Post a Comment